트위터 가입에서 활용까지 ③ 소통의 길목에서
지금까지는 트위터가 뭔지, 어떻게 시작하는지, 트위터에서 쓰이는 헛갈리는 용어 등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이제부터는 본격적으로 트윗을 어떻게 날리는지, 어떤 상황에서 어떤 트윗 형태가 적절한지, 사람은 어떻게 찾고 어떻게 팔로잉하는지 등을 알아볼 것입니다.
그러나, 그 전에 짚고 넘어가야 할 일이 있습니다. 지금까지 2편에 걸친 소개에서는 트위터 공식 페이지인 twitter.com을 기준으로 설명했습니다. 사실 이 페이지는 한글화가 돼있지 않아 불편한 것뿐만 아니라 페이지 구성 자체가 난삽하고 어려우며 기능이 굉장히 제한적이다 보니 정말 ‘캐안습’입니다. 그래서 나는 여러 어플로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고 있습니다. 그렇지만 드림위즈에서 트위터를 한글화 한답시고 만든 twtkr.com 페이지는 사실 별로 쓰고싶은 맘이 없습니다. 굉장히 무거운데다 사람 인내심 테스트하기 딱 좋을만큼 느려터졌기 때문입니다. 그렇지만 의외로 twtkr을 이용하는 사람이 많다보니 지금부터는 가능한 한 twitter와 twtkr 두개를 동시에 설명하고자 합니다.
twtkr에 접속하면 첫 화면위 위 그림입니다. twitter는 굉장히 불편하고 부족한 것이 많은 서비스입니다. 그렇지만 Open API를 도입함으로써 다양한 부가 기능을 이용자들이 큰 불편없이 쓸 수 있게 했습니다. Open API란 어떤 서비스가 자신의 서비스 기능 일부를 API(Application Program Interface) 형태로 공개함으로써 외부에서 그 기능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한 것입니다.
twtkr도 트위터의 이러한 오픈API 기능을 이용해 한글화 한 서비스인데요, 굳이 가입할 필요 없이 오른쪽에 있는 트위터에서 로그인을 통해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 버튼을 누르면 아래와 같은 창이 뜹니다. 여기서 트위터 아이디와 패스워드 넣고 Allow 눌러주면 됩니다. 이미 트위터에 로그인 돼있다면 Deny, Allow 두개만 있고 id, password 창은 보이지 않지요. 또 대로는 Deny, allow 위치가 좌우로 바뀌어 보일 때도 있습니다.
이렇게 사인인하고나면, 트위터kr을 이용해 트위터를 할 수 있습니다.
이제 트위터에 가입도 했고, 환경설정도 했습니다. 두가지만 더 하면 트위터 이용자가 되는 것입니다. 하나는 팔로잉(following)이고 하나는 트윗을 날리는 일입니다.
1. 팔로잉을 어떻게 하지?
팔로잉을 하는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습니다. 일단 트위터 하는 사람의 id를 아는 경우입니다. 이때는 브라우저 주소표시줄에 http://twitter.com/jgija http://twtkr.com/jgija 식으로 그 사람 아이디를 바로 입력하면 됩니다. 그러면 나오는 창에서 아래 그림처럼 follow를 눌러주면 됩니다. 그러면 녹색으로 following로 바뀌게 되면서 팔로잉 한 것입니다.
트위터를 하다가 보면 이런 페이지를 자주 만나게 됩니다. 다른 사람의 타임라인을 보는 것인데요, 여기서 팔로잉뿐만 아니라 언팔, 블록, 리스팅 등등의 일을 하게 됩니다.
다른 사람 주소를 모를 때는 전문 리스트 사이트를 이용하는 방법과, 내 타임라인에 들어오는 트윗 중 좋은 글을 발견했을 때 바로 팔로잉 하는 방법입니다.
일단 전문 리스트 사이트는 요즘 계속 늘고 있는데요, 제가 써본 것을 중심으로 몇가지 설명 드리겠습니다.
한국에서 서비스 되는 사이트입니다. 한국인 트위터 유저를 정렬해서 플픽으로 보여주는데요, 다양하게 정렬할 수 있습니다. 정치인만 볼 수도, 여성만 볼 수도, 가장 글을 많이 쓴 사람 순으로 정렬하는 등 다양한 소팅 옵션이 있습니다. 플픽을 클릭하면 그 사람의 트위터 타임라인으로 갈 수 있습니다. 위 그름에서 팔로잉 할 때의 화면입니다. 그러면 앞서 했듯이 팔로잉 하거나 리스트에 넣거나 멘션을 날릴 수도 있습니다.
http://koreantweeters.com 코리안 트위터즈입니다.
http://twitaddons.com/ 트윗애드온즈
http://twtbiz.net 트윗비즈
http://twtmt.com/ 트윗밋(트위터 모꼬지)
2. 트윗을 날려보자
이제 팔로잉도 됐으니 트윗을 날려봅시다.
타임라인 맨 위에 보면 “What’s happening?”(twitter.com) 또는 “지금 뭐하고 계세요?”라는 글 아래 네모 상자가 있습니다. 여기에 하고 싶은 말을 써 넣으면 됩니다. “아 이거 뭐야?”도 좋도 “오늘 날씨 참 좋아요”도 좋고 “트친님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도 좋습니다. 신문 기사나 인터넷검색하다 발견한 좋은 말을 그 페이지 주소와 함께 입력해도 좋습니다.
이렇게 입력한 글은 내 타임라인과 나를 팔로잉 하는 사람들(나의 팔로어)에게 전달됩니다. 이게 트윗입니다.
앞서 트윗, 멘션, 리플라이, 알티, 디엠 등에 대해 설명했습니다. 그걸 참고하시면 좋을 듯합니다.
아, 한가지 주의할 점은 다른 사람의 글을 알티할 때 종종 140자 제한에 걸리기 쉽습니다. 이때는 140자가 되게끔 글자를 지워야 하는데요, 지워서는 절대 안되는 것이 몇가지 있습니다. 제일 처음 글을 쓴 사람의 id, 원문 링크, 원문 해시태그 같은 것은 지우면 안됩니다. 그래도 140자를 맞출 수 없을 경우가 있는데 이때는 그냥 twitter.com에서 제공하는 기본 RT 기능을 이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140자를 넘길 때는 덜 중요한 것부터 삭제하라. 이모티콘>구둣점>조사>공백 등등. 절대 링크나 해시태그는 지우지 말 것.
여기서는 밥이야기의 내가 너의 밥이다 블로그 (http://bopstory.tistory.com/2012)에서 주인장의 동의를 얻어 트위터 혈액형을 인용합니다. 이렇게 다양한 방식으로 트위터를 쓰고 있다는 사례가 될 것입니다.
A형(리트윗형) : 이분 들은 자신이 직접 올리는 글(트윗) 숫자는 적지만, 다른 사람이 쓴 글을 리트윗(재공유)하는 사람들입니다. 다른 사람이 쓴 글에 대해 살짝 살짝 토씨를 달아서.
B형(소나기형) : 쉴 새 없이 트윗을 날리는 분들입니다. 하루 종일 트위터만 하고 계시는 분들 같아요.^^
C형(팔로워형) : 트윗은 오로지 서로 팔로워 숫자를 늘이기 위해서만. 친구 없으면 쓰러집니다.
D형(유아독존형): 자신의 말만 열심히 하시는 분들입니다. 주로 연예인이나 유명인들이 많지요. 맞팔(서로 추종자되기)은 잘 하지 않습니다.
E형(딴죽형) : 이 분들은 남이 올린 트윗에 대해 딴죽을 잘 겁니다. 잘 못 걸리면 큰일 납니다.
F형(명박산성형) : 자신의 의견하고 맞지 않거나, 극심한 토론(트위터상에서)에 상처를 받으면, 언팔 혹은 블락하는 사람들입니다. 교제를 바로 끊어버리지요.
G형(블로그형) : 블로그에 글을 올리고, 제목과 해당글 주소를 링크해서 트위하는 사람들입니다. 바로 접니다. ^^
H형(언론형) : 주요 신문 기사를 소개시켜 주는 분들입니다. 참 고맙지요.^^
I형(속보형) : 언론형인데, 정보가 아주 빠릅니다. 어쩔 때는 언론보다 더 빠른 것 같아요.
J형(일상다반사형) : 생활이야기를 자주 하는 분들입니다. 음식점 알려 주세요. 저 야근 하고 있어요. 저 퇴근 하고 있어요…………^^
K형(생중계형): 스포츠 경기나 각 종 시위현장, 사고 현장을 실시간으로 알려주는 유형입니다.
L형(외국정보형) : 외국의 새로운 정보를 잘 소개시켜 주는 형. 외국어 때문에 머리를 아프게 하지만…
M형(홍보형) : 오로지 홍보만, 기업형이지요.
O형(내부고발자형) : 고발, 속 시원하게 까발리는 형입니다. 정의감이 있지요.
P형(보신각형) : 매 시간 만 알려 주거나(1시 : 땡 한번) 블락만 전문적으로 하는 트위터.
Q형(질문형) : 질문을 많이 하는 유형입니다. 그냥 인터넷에서 찾아보지^^
R형(고독형) : 음악이나 동영상 소개 해주는 형
S형(사교형) : 사람만나는 것을 좋아 하는 유형입니다. 데이트?
T형(대결형) : 오로지 싸움만.
U형(감시형) : 누군지 아시겠지요?
X형(횡성수설형) : 독해가 필요합니다.
Y형(쇼핑형) : 구입 물건 자랑 ^^
Z형(비관형) : 만사 괴롭습니다.^^
[블로그 새글] 트위터 가입에서 활용까지 ③ 소통의 길목에서 http://digilog4u.com/?p=28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