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과 페이스북의 인터넷 대전, 최후 승자는?

웹스터 사전은 2003년부터 해마다 연말이면 올해의 단어 10개를 선정해 발표한다. 지난 2004년 Top10 중 1위는 ‘블로그(blog)’가 차지했다. 서양(특히 영어 사용권)과 우리나라의 인터넷 환경이나 문화가 다르다 보니 이 사례를 딱 들어맞다고 할 수는 없겠지만, 적어도 ‘블로그’가 ‘인터넷’의 중요한 부분으로 자리잡은지는 10년쯤 됐다고 하겠다.

◇블로그는 낡은 매체?

강산이 변한다는 그 10년만에 블로그가 심각한 위기에 빠졌다는 얘기가 간간이 들려온다. 실제 근래 몇 년 사이 블로그는 ‘1인 미디어’라는 호평을 들으며 승승장구해왔지만, 트위터·페이스북 같은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가 급속히 확산하면서 예전 같지 않은 모습니다.

1인 미디어를 주도해왔던 ‘파워 블로거’들이 SNS로 대거 진출하면서 블로그에 글을 쓰는 절대적인 횟수가 줄어든 것도 한 원인으로 꼽히고 있다. 더구나 페이스북이 자체 기능이 단순하지만 오픈API를 통한 확장성에 바탕 해 블로그, 카페, 전자메일 등으로 흩어져 있는 다양한 웹 어플리케이션을 페이스북 안으로 수용하고 있다는 점도 한 요인으로 꼽힌다.

블로그가 각광받을 수 있었던 배경에는 다음의 메타블로그 View(예전의 블로거 뉴스)를 비롯해 다양한 메타블로그 사이트가 큰 역할을 했다. 특히 다음 뷰는 독보적인 역할을 했다는 게 정설이다. 그리고 파워블로거 대부분은 IT 분야나 시사 블로거들이 주도했다. 이는 다음 뷰의 블로거 정책과도 연관이 있는 것으로 짐작되는데 다음이 ‘블로거 뉴스’ 시절 초창기에는 IT블로거를 집중 지원했다. IT블로거가 자리잡자 시사블로거를 지원했다. 그러나 지난해 말부터 다음 뷰는 라이프나 문화/연예 블로거를 주요하게 다루고 있다. 이에 따라 그간의 파워 블로거들이 의기소침해진 탓도 있을 것으로 짐작된다.

내·외부적인 요인이 겹치면서 전성기 때에 비해 블로그를 외면하는 블로거도 늘고 있다. 실제 예전 같으면 블로그에 포스팅했을 법한 글을 페이스북의 기능인 노트나 사진에 게재하는 블로거도 늘고 있다. 블로그가 ‘낡은 매체’라는 얘기가 심심찮게 흘러나오는 까닭이기도 하다.

◇페이스북, 네이버를 보는 듯하다

국내 사용자 150만, 전세계 사용자 5억 명을 넘어선 페이스북의 행보를 보고 있자면 예전 국내 1위 포탈인 네이버를 보는 듯하다. 네이버는 누리꾼들의 정보를 ‘지식인’으로 끌어 모으면서 도약했으며, 카페·블로그 등을 통해 하나의 철옹성을 쌓았다. 네이버에서 다른 포탈의 정보는 검색할 수 있지만 다른 검색엔진에서 네이버 내부의 블로그나 카페, 지식인 등은 검색할 수 없도록 폐쇄정책을 썼던 것.

페이스북도 마찬가지다. 페이스북을 제외한 모든 인터넷의 정보를 페이스북으로 보낼 수 있지만, 외부에서 페이스북의 정보를 검색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엄밀히 따지면 페이스북 안에서도 이용자나 페이지 등은 검색할 수 있지만 담긴 내용, 즉 콘텐츠는 검색할 수 없다.

페이스북 콘텐츠를 검색할 수 없는 것은 페이스북 시스템이나 철학과도 관련 있어 쉽사리 바꿀 수는 없는 문제이므로 제쳐 둔다고 하더라도, ‘인터넷을 한다는 것이 곧 ‘페이스북을 한다는 것’으로 일반화 될 시기가 얼마 남지 않았다는 전망이 널리 퍼지고 있어 페이스북 안으로 콘텐츠가 몰려 드는 현상은 걱정스럽다.

전자메일 대신 페이스북 쪽지를 쓰고, 블로그 대신 페이스북 노트를, 카페 대신 페이스북 그룹을, 기업 홈페이지 대신 페이스북 페이지를 사용하게 된다면 이용자는 다양한 인터넷 서비스 여기저기를 숱하게 로그인해야 하는 불편 없이 페이스북 안에서 모든 일을 처리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이것이 곧 ‘인터넷을 한다는 것은 페이스북을 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여기에는 큰 문제가 있다. 하나는 페이스북은 저장매체가 아니라는 것이다. 5억 명이 쏟아내는 다양한 콘텐츠를 모조리 저장하기에는 늘어나는 스토리지 증설 부담을 피해갈 수 없다.

페이스북에서 그러한 부담을 감수하면서 스토리지를 충분히 증설한다고 할지라도 더 큰 문제에 봉착하게 된다. 검색되지 않는 콘텐츠는 없느니만 못하다는 것이다. 누군가에게 메일을 받은 듯한데, 누군가의 노트에서 참고할 만한 글을 본 듯한데 정확히 기억나지 않는다면 검색이라도 할 수 있어야지만 페이스북은 구조상 검색기능을 구현하기가 어렵다. 사용자 개개인의 보안 정책에 따라 모든 사람에게 공개, 친구의 친구에게 공개, 친구에게 공개, 비공개로 나눠진 콘텐츠를 모조리 색인 할 수는 있겠지만, 그 색인된 결과를 각각의 보안 등급에 따라 나누고 그 콘텐츠의 주인과 검색한 이와의 관계까지 따져서 이를 표시하는 것은 단순한 스토리지가 아니라 엄청난 연산능력을 필요로 하는 서버 증설로 이어지기 때문이다.

결국 모든 콘텐츠를 페이스북 안으로 블랙홀마냥 흡입하려 하지만, 저장되지도 검색되지도 않는 ‘쓰레기’로 만들 우려가 있다.

◇제국이 위협받는 구글

구글 검색을 사용해본 사람들은 국내 네이버나 다음, 네이트 같은 포탈의 검색은 검색도 아니라는 말을 하기도 한다. 광고 같은 요인이 아니라 검색 알고리즘 자체에 충실한 검색 결과를 내놓기 때문이다. 아울러 구글 뿐만 아니라 전 세계의 거의 모든 콘텐츠를 검색할 수 있다는 점도 구글의 장점이다.

심지어 구글은 디지털화 되지 않은 모든 활자를 디지털화 한다는 계획에 따라 전 세계 주요 도서관에서 책을 스캔 받고 있다. 구글로 검색되지 않는 것이 없게 하겠다는 것이다.

이러한 구글은 전세계 최고 트래픽을 유발하기도 했지만, 이미 지난달 페이스북에 1위 자리를 넘겨줘야 했다. 이를 두고 구글이 한번 빼앗긴 1위 자리를 되찾기는 어려울 것이라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그러나 구글은 인터넷에 쌓인 콘텐츠를 ‘구글’의 테두리 안으로 끌어넣으려고는 하지 않는다. 단지 색인 정보만을 저장할 뿐이다. 최근 개념이 확립되고 기업에서 속속 도입하고 있는 ‘클라우딩 컴퓨터(분산형 컴퓨터)’와도 일맥상통하는 점이다.

개방·참여·공유라는 웹2.0 환경에서 SNS라는 새로운 환경으로 도약하는 단계에서 웹2.0 정신에 충실한 구글, 웹 2.0 정신을 뛰어넘어 새로운 체계를 구축해가는 페이스북은 머잖아 건곤일척의 대전을 치르게 될 것이다. 그 최후의 승자는 이용자의 마음을 얼마나 빼앗느냐 뿐만 아니라 어떠한 수익 모델을 만들어 낼 것인가, 어떠한 비전을 세우고 실천해나가느냐는 등에서 갈릴 것이다.

디지로그

축구가 좋은 축구입니다.

%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