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분류

KNN, 민방 선정 당시 약속 잊었다

중계시설 38개소 신설·방송센터 설치 등 대부분 미이행

부산·경남 광역 민영방송인 KNN이 부산에 지나치게 치우친 보도·운영 행태를 보인다는 지적을 받고 있는 가운데 경남권을 아우르는 광역 민방 사업자로 선정되면서 했던 약속도 제대로 이행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부산·경남 민방 광역화 사업자로 선정된 2005년 7월을 전후해 당시 부산방송(PSB)은 허가 추천권자였던 방송위원회는 물론, 경남도내 언론과 도민 등을 대상으로 다양한 약속을 했다.

방송통신위원회를 상대로 당시 PSB가 제출한 사업계획서와 이행각서, 3년간 약속사항 이행과정 및 이행결과 보고서 등에 대한 정보공개를 청구했지만 기업의 영업비밀에 해당한다는 이유로 이행각서와 허가추천 조건을 제외한 나머지 정보는 비공개 처분을 했다.

그러나 2005년 당시 주요 언론보도 등에 나타난 KNN 약속 이행 여부에 대해 확인한 것만으로도 이행되지 않은 약속이 많았다. 방통위가 공개한 허가추천 조건에는 아날로그TV 중계소와 디지털TV 중계소와 관련해 “허가 추천 신청시 제출한 사업계획서에서 제시한 내용 및 의견청취시 약속한 사항을 충실히 이행해야 하며 부득이한 사유로 이를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사전에 방송위원회의 승인을 얻어야 한다”고 돼 있다.

경남 자체프로 거의 없어…민언련 “양적 균형도 아쉬워”

당시 언론에 보도된 광역화 약속에는 △창원 불모산과 진주 망진산 등 중계소와 간이중계시설(TVR) 38개소 신설 △창원과 진주에 스튜디오·조정실·편집실·미디어센터를 포함하는 방송센터 2곳 설치 등을 약속했다.

그러나 KNN에 확인한 결과 진주 망진산과 창원 불모산에 중계소는 설치됐지만 그밖에 간이중계시설은 계획에 미치지 못한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KNN 관계자는 “간이중계국 확장은 하고 있으며 인구대비 90%, 가구 대비 88% 정도를 커버하고 있다”며 “경남지역은 산악지역이 많아 간이중계국을 설치해도 난시청지역을 완전 해소하기에 어려움이 따르는데다 공중파 3사와 지역 민방이 함께 기금을 조성해 직접 수신망을 확대하려고 했지만 쉽지는 않다”고 밝혔다.

또 창원에 경남 방송본부, 진주에 방송센터를 설치했지만 뉴스를 제외하면 경남권에서의 자체 프로그램 제작은 거의 없는 실정이다. 더구나 ‘미디어 센터’에 대해서는 KNN측에서는 설치를 약속한 일이 없다고 밝혀 경남지역 시청자 미디어 접근권 확보 계획 자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해서도 KNN 관계자는 “경남에 인력을 26명 배치해 운영하고 있다”며 “다른 지역의 민방 가운데서 도단위에 이정도 투자를 하는 경우가 없다”고 밝혔다. 즉 KNN이 다른 지역의 민방에 비해 경남지역에 많은 투자를 하고 있다는 설명이다.

또 “광역화 당시 시민기자제를 도입해서 경남지역 시청자 참여 프로그램을 확충할 계획도 있었지만 UCC 열풍이 일면서 방송위와 논의해 UCC를 활용하고 시민기자는 하지 않게 됐다”고 밝혔다.

그러나 이러한 설명에도 KNN의 ‘경남 홀대’는 방송 재허가 과정에서도 논란이 된 것으로 나타났다.

방송통신위원회 관계자는 “KNN이 했던 경남지역에 대한 투자 약속 등에 대해서는 2007년 방송 재허가 과정에서 걸러진 것으로 안다”고 밝혔다. KNN 관계자도 “2007년 재허가 과정에서 경남부분 초기사업이 미비하다는 지적을 많이 받았다”며 “그러나 이후 경남지역 투자를 열심히 해 올 하반기 재허가 과정에서는 별다른 논란이 없었다”고 밝혔다.

한편, 지난 18일 자 17면 ‘KNN, 경남권 민방 맞나’ 기사 중 시청자 위원회가 부산 사람 위주로 구성돼 있다는 보도에 대해 KNN 측에서는 “시청자 위원회는 부산권 위주로 구성된 것이 맞지만 경남본부에는 경남 사람들로 ‘경남 방송자문위원회’를 설치해 운영하고 있다”고 밝혔다.

디지로그

축구가 좋은 축구입니다.

%d 블로거가 이것을 좋아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