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분류

‘남강댐 물’ 두고 경남-부산 언론 치열한 대리전

남강댐 물 부산 공급을 두고 부산과 경남에서 발행되는 신문들의 논조가 판이한 대조를 보이고 있다. 결단코 가져가겠다는 쪽과 한사코 줄 수 없다는 쪽의 이야기만 일방적으로 보도하는 식이다.

부산에서 발행되는 <국제신문>은 28일 자 1면과 3면에 ‘먹는 물 나누기로 동남권 상생하자’는 스트레이트와 ‘연 9억t 방류…3억5000만t 취수 문제안돼’라는 해설기사를 보도했다. 보도내용은 “5000만 국민의 재산이자 생명수인 물도 나눠 먹지 못하면서 부산 울산 경남의 상생과 협력을 말하는 것은 자기모순”이라는 부산시의 말을 인용하면서 경남의 논리를 반박했다. 그러면서도 사설에서는 김태호 지사의 징계 자처를 ‘오버액션’이라며 “남강댐 취수는 사실 부산에서도 찬반이 엇갈리는 사안이다. … 당연히 부산 자체 내부논의도 더 필요하고 경남도와의 협의도 필요한 사안이다”고 해 한 발 빼는 모습을 보였다.

같은 날 <경남일보>는 ‘본질 벗어난 남강댐 물 부산 공급’ 기사를 내보냈다. 적어도 2번 이상은 연재할 계획인 것으로 추정되는 이 기사에는 마창진환경운동연합과 진주환경운동연합이 식수 공급 대책을 ‘삽질 식수대책’으로 규정했다며 서부 경남 환경·생존권을 파괴할 것이라고 보도했다.

<경남도민일보>는 같은 날 설 민심을 전하는 기사에서 “지금까지 부산은 개발의 대가로 달콤함에 젖어 있다가 자기 집의 우물을 망쳐놓고는 못사는 이웃집의 좋은 우물에 빨대를 꽂는 작태로 강도질과 무엇이 다르냐”는 시민의 말을 인용보도하면서 진주시민들의 강력한 반발 분위기를 전했다. 또 김태호 지사가 징계를 자처한 일에 대한 해설기사와 사설을 통해 부산으로 남강댐 물을 공급하려는 정부 계획에 대한 경남도의 구체적인 대책은 없다고 몰아붙였다.

<경남신문>은 같은 날 김태호 지사가 ‘감봉 3개월’이라는 징계를 자처한 배경을 분석한 기사와 사설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 부산과 마찰을 빚는 현안들을 들며 “실리 등 여러 면에서 부산에 밀리는 면이 적잖았고, 정부의 지원도 잘 받지 못했다. 신항 명칭과 신항 컨테이너 선석 관할권 지정, 신항 물류권 등이 그러했다”고 경남도가 잘 대처해주기를 바란다고 당부했다.

표면에 드러나는 것만으로 보면 양 지역에서 발행되는 신문이 ‘물을 가져간다 못준다’는 양 지역 대리전을 벌이고 있다.

그러나 이면에는 토론과 대화, 협력 같은 민주적 절차를 거쳐 합리적인 결과를 도출하는 과정을 말살하고 밀어붙이는 정부가 자리하고 있다. 지난해 12월 22일자 <부산일보> 사설 ‘남강댐 물 공급 충분한 타당성 검토부터’의 지적을 되돌아 볼 필요가 있다.

“정부의 대대적인 4대 강 정비 사업에 얹혀 충분한 타당성 검토 절차를 거치지 않고 어물쩍 시행하려 해서는 곤란하다. 4대강 정비 사업은 대운하 조성 사업의 전 단계로 의심받고 있는 상황이다”는 합리적 지적에도 수자원공사는 이미 올해 예산에 광역상수도를 위한 관로 매설 사업을 포함했으며 7월께 발주하겠다는 식의 불도저 밀어붙이기 앞에서 부산과 경남이 ‘지역 이기주의’로 이전투구를 벌이도록 내몰리고 있다.

디지로그

축구가 좋은 축구입니다.

%d 블로거가 이것을 좋아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