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원 지침에 10년 쓰던 도메인 일방변경

경남도가 10년 남짓 도민에게 무료로 제공해온 웹메일 주소를 갑자기 바꿔 이용자들이 혼란을 겪고 있다. 더구나 이런 불편을 해소할 아무런 대책이 없어 이용자들만 당분간 혼란을 감수하든지 아니면 다른 메일을 찾아나서야 할 처지다.

이같은 조치는 지난해 7월 국정원이 주도한 공공기관 메일 등 인터넷 보안 강화 조치에 따른 것이다. 그러나 도의 이러한 조치는 대민 서비스를 악화시키는 일을 하면서 지나치게 경직되게 지침을 받아들였다는 비난을 사고 있다.

지난 20일 이후 메일이 들어오지 않고 있는 경남도 웹메일 받은편지함.

경남도는 지난 1999년께부터 도민에게 ID@gsnd.net 도메인으로 웹메일을 비롯해 웹 하드, 홈페이지 등을 무료로 제공해왔다. 지금까지 등록된 사용자는 2만 6000여 명에 이르며 이 중 도청 등 관계공무원 4000여 명을 뺀 나머지 2만 2000여 명은 민간인이다.

23일 경남도에 따르면 도는 정부의 지침에 따라 민간인에게 대표 도메인인 gsnd.net으로 된 메일과 홈페이지 등 서비스를 할 수 없게 돼 이 날짜로 feelgn.net으로 바꿔 서비스하고 있다. 이에 앞서 도는 지난 20일부터 도메인 변경작업을 하려고 메일 서비스를 23일까지 중단해 실질적으로 gsnd.net 메일은 지난 20일부터 먹통이 됐다.

또 이 도메인으로 메일을 사용하던 도청 공무원들도 이날부터 바뀐 ID@korea.kr 도메인으로만 메일을 쓸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무료 웹메일을 이용하던 사람들이 큰 불편을 겪게 됐다. 이용자들은 ID@gsnd.net으로 돼 있는 △공공기관 및 포털사이트 등 개인적으로 등록한 웹사이트의 가입자 정보 △금융(카드, 은행, 증권사 등) 및 쇼핑몰 가입자 정보 △각종 뉴스레터 및 정기간행물 발송처 △명함의 메일주소 △기타 지인들에게 알려준 메일주소 등을 바뀐 ID@feelgn.net이나 ID@korea.kr 메일로 일일이 바뀌었음을 알리거나 수정해야 한다. 이 밖에도 ID@gsnd.net으로 보내진 메일은 받아볼 수 없게 돼 업무 차질까지 빚을 수도 있다.

이는 지난해 정부가 시행한 보안 강화 조치 때문이다. 정부는 공무원과 민간인이 같은 웹메일 서버를 사용할 수 없게 했으며 민간인에게 기관의 대표 도메인(경남도는 gsnd.net)을 제공하지도 못하게 했다. 이러다 보니 유예기간을 두고 기존 gsnd.net으로 들어오던 메일을 feelgn.net으로 전달(포워딩)할 수도 없게 됐다는 게 도청 관계자의 설명이다.

경남도 관계자는 “이용자들이 불편을 겪을 것이라는 것은 알고 있다. 불편을 끼쳐 드려 안타깝게 생각하지만 어떻게 할 방법이 없다”고 말했다.

지난해 보안강화 조처를 주도한 국정원 담당자를 취재하려 했지만 연락이 닿지 않았다. 단지 국정원 사이버테러 신고센터를 통해 취재요청을 했더니 그쪽 홍보 담당자와 통화할 수 있었다. 그는 “자세한 내막은 알아봐야 하겠지만, 유예기간 없이 그처럼 조처를 했다면 경남도가 지나치게 경직되게 일 처리를 했다고 볼 수 있겠다”고 말했다.

디지로그

축구가 좋은 축구입니다.

%d 블로거가 이것을 좋아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