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포늪에 와서 권세 자랑 그만해주요
대통령 표창, 대한민국 환경대전을 비롯해 각종 표창 18회 수상. 마산MBC 다큐 <떴다 우포 발바리>를 비롯해 방송·신문·잡지에 게재된 것은 셀 수 없고 중학교 3학년 1학기 국어 교과서에도 게재. 문화재청 지정 문화재 지킴이 30호. 석양이 진 우포늪 갈대 사이로 쪽배를 삿대로 저어가는 사진 모델로도 전국적 유명세. 13년째 우포늪에서 환경감시원으로 활동. 그가 항상 타고 다니는 80cc 오토바이에는 뉴트리아 포획 올무를 비롯해 우포늪 환경 감시하는 데 필요한 각종 장비가 항상 실려 있고 그가 만난 유명인사들과의 기념사진이 오토바이 바람막이를 빼곡히 채우고 있는 주영학(66) 씨.
이제 우포늪을 얘기할 때 그의 얘기를 빼놓고는 얘기할 수 없을 만큼 환경 지킴이로 유명해진 그를 비가 오락가락하는 8월 5일 우포늪 대대제방에서 만났다. 작달막한 체구에 환경지킴이 모자와 조끼를 걸친 그는 모자와 조끼가 아니라면 천생 꼬장꼬장한 시골 할배 모습이다.
새들 놀라지 마라고 같은 옷만 입어
“여서 나서 여서 자랐고, 우리 아배 어매가 살다가 돌아가신 곳 아닌교. 그라고 저 늪을 함 보소. 얼매나 좋은교. 그기 단기라.”
우포늪이 뭐가 그리 좋으냐고 물었더니 단박에 돌아온 답이다. 실제로 우포늪 환경지킴이로 일하면서 1주일에 이틀을 쉬는데 쉬는 날이면 우포늪이 훤히 내려다보이는 부친 묘소에 올라 늪을 하염없이 내려다보곤 한단다.
“만날 늪만 보고 사는데 이게 낙이라. 풀이고 새고 다 내 친구 아닌교. 그게 낙이라. 새도 나를 알아보는데 뭐. 3년 전 부엉이가 새끼를 쳤어. 부엉이는 걸음만 걸으면 둥지에서 나가는데 내가 산중턱까지 마중을 나간기라. 새끼가 위험해 보여서 내가 잡으니까 어미가 우에서 가갈거리는 기라. 손대지 마라고. 놓으니까 내 뒤를 살살 따라오고…. 부엉이도 내 맘 안다 아인교.”
새들이 주 씨를 보고 놀라지 말라고 항상 같은 옷만 입고 다닌다고. 그렇다고 옷이 한 벌밖에 없는 건 아니다. 늪에서 시작된 인터뷰는 퇴근 후 그의 집으로까지 이어졌는데, 똑같은 푸른색 셔츠가 20여 벌 벽에 걸려 있었다. 지금까지 환경감시원 하면서 썼던 모자도 전부 ‘기록물’이라며 보관하고 있었다. 그러니 새들도 알아볼 수밖에 없겠다 싶다. 새들도 알아보는 그는 늪과 새, 수초까지도 “모든 숨 쉬는 것은 다 똑같아요. 사람이나 동물이나 새나…” 하는 생각으로 대해왔기에 오늘날 자리를 잡은 게 아닐까 짐작된다.
“새 머리 영리합니다. 기러기 함 보소. 얼마나 좋은교. 비행기 만든 라이트 형젠가 뭔가 하는 사람이 뭐 보고 만들었겠는교. 기러기 보고 만든 기라. 고니나 기러기 보면 브이자로 날아가요. 그걸 자세히 보면 맨 앞에 우두머리 그담에 청년 가운데 새끼 맨 뒤에 청년 이렇게 대열을 지어 가. 앞과 뒤의 청년은 서로 자리를 바꿔가면서 날아가는 기라. 앞뒤에서 튼튼한 청년들이 대열을 지어 날갯짓하니 새끼들이 있는 복판은 잠잠한 기라. 마치 태풍 한가운데는 바람이 없는 것 맹키로. 그렇게 새끼들도 힘 안 들이고 가는 기라. 수천 마리가 비행해도 낙오자도 없고 부딪히지도 않고 잘 가지.”
주 씨 눈에는 “사람은 안 그런다”. 서로 끌어내리고 질투하고 하는 게 한마디로 새보다 못하다는 것. 그래서 “지구로 봐서는 사람은 기생충이라. 지금 지구를 갉아먹고 있잖아. 왜 지구를 이렇게 만드느냐고. 그러니 없는 병도 생기고 얄궂은 병이 다 생긴다 아인교”라는 다소 ‘거친’ 얘기도 거리낌 없이 던진다.
마침 인터뷰하던 날, 우포늪에는 지금껏 잘 보이지 않았는데 올해 날아든 물꿩이 새끼를 부화시켰다는 소식이 전해지면서 사진작가들이 제법 모여들어 있었다. 주씨 애마 오토바이를 타고 탐방로를 달려 가봤더니 소나기가 쏟아지면서 카메라에 우산만 씌워두고 작가들은 모두 비를 피해 자리를 뜨고 없었다. 내가 가진 카메라가 멀리 있는 물꿩 새끼를 촬영할 정도는 아니어서 연잎 사이 저 어디쯤 물꿩 둥지가 있겠거니 짐작만 하고 비 내리는 늪을 훑어보고 있는데 주 씨는 그 사이에도 누군가 버리고 간 쓰레기를 부지런히 치운다.
그의 일상생활을 될 수 있으면 많이 사진에 담으려 했는데 날씨 때문에 주로 감시 초소에서 인터뷰를 하다 보니 많은 활동을 보진 못했지만, 이것만 봐도 그는 천상 환경지킴이다.
살아있는 우포 박물관
대대제방 환경감시 초소에서 인터뷰 중 퇴근시간이 됐다. 안그래도 그의 집에 가보고 싶었는데 마침 잘됐다 싶어 퇴근하는 그를 좇아 그의 집에까지 갔다.
이방면사무소 옆에 있는 그의 집은 부모님이 모두 임종하신 곳이다. 방 두 개에 마루가 하나인데, 아버지께서 임종했다는 방은 그가 묵는 곳이고, 마루는 둘이 마주앉아 얘기하기도 불편할 만큼 사방이 각종 자료로 쌓여 있었다. 어머니께서 임종하셨다는 방도 마찬가지.
최근엔 집 뒤쪽에 방 한 칸짜리 집을 새로 지었다. 이름하여 ‘영빈관’. 유명인사들이 하도 자주 찾아오다 보니 지금 집에서는 ‘모실’ 수 없어 자고 갈 수 있는 집을 새로 지었다는 것.
얼마 전 KBS <한국인의 밥상> 진행자인 최불암 씨가 와서 보고는 직접 창녕군수에게 전화하여 “살아있는 생태박물관 주영학 선생을 잘 보살펴주라”고 당부했다는 그 집이다.
집에 들어서자 마루 사방을 꽉 채우고 있는 책장이 눈에 띈다. 책장 위로 빙 둘러쳐 있는, 2011년 5월 11일 세계습지의 날 기념식에서 받은 대통령표창으로부터 시작하여 진열되어 있는 국무총리 도지사 군수 사회단체 언론으로부터 받은 상장과 감사패 액자가 눈길을 끈다.
“참 표창도 많이 받았네요”라고 말을 꺼냈더니 “저게 다 짐 아인교” 한다. “해야 할 일, 봉사정신 가지고 스스로 했”는데 상을 여기서 저기서 주니 부담스럽다는 것.
“한번은 미국 교포가 와서 나를 찾는 기라. 납니다 했더니 호텔에도 비행기에도 크게 걸려 있다더라면서 만나게 돼 영광이라대. 독일에서도 와서 그래. 내가 부끄러워서…. 상 받으니 더 힘드는 기라. 더 열심히 해줘야 돼.”
‘우포늪이 아내’라는 주 씨. 돈 버는 것은 없지만, 창녕 군민이라면 당연히 해야 할 일을 해온 것뿐인데 이렇게 주목해주니 ‘부담 백 배’라고 손사래다. 하지만 어쩌겠나. 그런 사람 찾기가 쉽지 않은 세태임에랴.
다시 녹음테이프를 앞으로 돌려본다. 대대제방에 있는 환경감시 초소에서 인터뷰하고 있는데 어디선가 낯이 익은 어른이 들어온다. 가만 보니 내가 주 씨를 만나러 가는 길을 잘못 들어 목포제방 쪽으로 갔을 때 만났던 환경지킴이다. 대대제방 가는 길을 자세히 일러주던 이다. 그가 꼭 기사에 넣어달라고 신신당부를 한 말이 귀에 쟁쟁한다. 혹시 오늘 내가 그런 것은 아닌가?
“진짜 높은 사람들은 다 걸어서 탐방해요. 근데 별것도 아닌 사람들이 골프칸가 뭔가 그거 타고 탐방하더라고요. 자연 앞에서 자신의 권세니 뭐니 그게 뭐라고. 우포늪에 권세 자랑하러 오나요?”
※ 이 글은 경남도민일보가 발행하는 인터뷰 전문 월간지 <피플파워> 2013년 9월호에 게재됐습니다. 기록 차원에서 인터뷰 기사 중 일부를 블로그에 올려둡니다. 원문은 우포늪 지킴이 주영학 씨(유료)에서 볼 수 있습니다.
최근 댓글